수원 앞니 치료 치과 앞니 잇몸 염증으로 발치 후 임플란트 한 증례
작성자 관리자

안녕하세요^^

수원 앞니 치료 치과입니다!

 

오늘 분석해볼 증례는

심하게 손상되고 상실된

여러 치아를 전체 치주 치료부터

정교한 발치, 복합적인 뼈이식,

그리고 디지털 가이드를 활용한

임플란트 식립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계획과 단계적인 치료에 대한 정보입니다.

 

이번 케이스 환자분의 경우

다수의 앞니와 어금니의 불편함,

그리고 치아 상실로 인한

심미적, 기능적 문제가 있으셨는데요

 

단순히 부분적인 치료를 넘어,

구강 전체의 조화와 장기적인 건강을 목표로 한

포괄적인 치료 계획이 절실한 상황이었습니다.

 

조금 더 편하게 읽으실 수 있도록

세 줄 요약 후 임상 증례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전반적인 잇몸 문제와

다수의 치아 상실로 내원,

전체 치주 치료 및 보존 불가능한

치아 발치로 치료 시작

 

2. 상악 앞니 및 어금니, 하악 어금니 등 여러 부위에 걸쳐

덴티스 임플란트 식립(디지털 가이드 활용),

부족한 잇몸뼈는 단순 뼈이식으로 보강

 

3. 지르코니아 보철물과 임시 틀니를 활용하여

치료 과정 중에도 심미성과 기능성을 유지하며

최종적인 구강 건강을 완벽하게 회복

 

환자분은

앞니가 많이 흔들리고 아파요.

어금니도 여러 개 없고,

전체적으로 잇몸이 좋지 않은 것 같아

검진받고 싶습니다.

 

라는 주소였습니다.

 

처음 뵙는 순간부터 환자분께서

구강 전체의 건강과 기능,

그리고 심미성에 대한 깊은 염려를

가지고 계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치아는 단순히 음식물을 씹는 도구를 넘어,

발음, 미소, 그리고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신체 부위입니다.

 

먼저 환자분의 구강 전체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하여

파노라마(Panorama X-ray)와

3차원 CT 촬영을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29ef42d7090a68cfb8aca42e15b3089c_1754384488_69.jpg
사진을 보시면, 
상악 전치부(앞니)인 # 11번, # 12번,

# 13번과 # 21번, # 22번 치아가

심하게 손상되어 보존이 어렵다고 판단되며

상악 어금니인 # 16번 역시

발치가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

 

또한, 전반적인 잇몸 염증(치주염)

관찰되었습니다.

 

구강 전체의 건강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전체 치주 치료(스케일링 및 잇몸 치료)

진행이 중요한데요

 

이어서 바로 구강 내부를 살펴보겠습니다.

29ef42d7090a68cfb8aca42e15b3089c_1754384510_61.jpg
29ef42d7090a68cfb8aca42e15b3089c_1754384528_17.jpg
건강한 잇몸 환경이 조성된 후, 
보존이 불가능한

치아들을 발치하는 단계에 들어가는데요.

 

상악 전치부의 # 11번, # 12번, # 13번과 # 21번, # 22번 치아,

그리고 상악 어금니인 # 16번 치아가 발치된 게 확인됩니다.

 

다수의 앞니 발치로 인한 심미적, 기능적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수원 앞니 치료 치과에서는 발치 직후 상악 임시 틀니를 제작하여

세팅해드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특히 # 13번과 # 22번 부위는

임플란트 식립에 필요한 잇몸뼈의 양이

다소 부족하여 단순 뼈이식을 함께 진행합니다.

 

뼈이식 후 일정 기간 동안 잇몸뼈가 안정적으로 형성되기를 기다린 후,

본격적인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합니다.

 

3D CT 기반의 디지털 가이드는 환자분의 잇몸뼈, 신경관 위치 등을

미리 분석하여 최적의 식립 위치와 깊이를 결정하며,

실제 수술 시 오차 없는 시술을 가능하게 합니다.

fbbe471910db56df19c6b39796612e06_1754461654_38.jpg 먼저 상악 전치부의 # 11번, # 13번, # 22번 자리에 임플란트를 식립된 것이 확인됩니다

이후, 상실된 # 12번과 # 21번 치아는 임플란트와 연결된 지르코니아

보철물(전치부용) 로 수복하여 심미성과 기능

동시에 회복시키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하악 어금니인 # 34번, # 36번, # 37번

그리고 상악 어금니인 # 14번, # 16번 부위에

덴티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가이드 수술을 진행했습니다.

 

특히, 초기 치료 계획에서

# 35번 식립으로 고려되었던 부분이 환자분의 구강 상태를 고려하여

# 36번 식립으로 변경되어 더욱 효율적인 저작 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 계획을 수정하는데요,

 

임플란트 식립이 완료된 후, 상실되었던 # 15번과 # 35번 치아 부위는

임플란트가 지지하는 브리지의 폰틱(Pontic, 인공치아)으로

디자인하여 재제작될 예정입니다.

 

이들 보철물 역시 지르코니아(구치부용)로

제작되어 뛰어난 강도와 자연스러운 색상을 자랑할 것입니다.

fbbe471910db56df19c6b39796612e06_1754461923_09.jpg

 

해당 치료 과정은 다수의 치아 상실과 잇몸 문제라는

복합적인 상황에 직면했을 때,

한두 개의 치아에 국한되지 않는 구강 전체의 통합적인 진단과

단계별 맞춤 치료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본 포스팅은 대표원장 김동섭이 직접 작성한 포스팅으로

의료법 제23조, 제56조를 준수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치료 시작 : 2023년 11월 8일 / 치료 종료 : 2024년 9월 11일

해당 케이스는 위 환자에게만 적용되는 술식이며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

1. 임플란트 탈락 2. 임플란트 주위염 3. 임플란트 보철물 탈락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