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악 전치부의 # 11번, # 12번, # 13번과 # 21번, # 22번 치아,
그리고 상악 어금니인 # 16번 치아가 발치된 게 확인됩니다.
다수의 앞니 발치로 인한 심미적, 기능적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수원 앞니 치료 치과에서는 발치 직후 상악 임시 틀니를 제작하여
세팅해드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특히 # 13번과 # 22번 부위는
임플란트 식립에 필요한 잇몸뼈의 양이
다소 부족하여 단순 뼈이식을 함께 진행합니다.
뼈이식 후 일정 기간 동안 잇몸뼈가 안정적으로 형성되기를 기다린 후,
본격적인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합니다.
3D CT 기반의 디지털 가이드는 환자분의 잇몸뼈, 신경관 위치 등을
미리 분석하여 최적의 식립 위치와 깊이를 결정하며,
실제 수술 시 오차 없는 시술을 가능하게 합니다.
먼저 상악 전치부의 # 11번, # 13번, # 22번 자리에 임플란트를 식립된 것이 확인됩니다
이후, 상실된 # 12번과 # 21번 치아는 임플란트와 연결된 지르코니아
보철물(전치부용) 로 수복하여 심미성과 기능을
동시에 회복시키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하악 어금니인 # 34번, # 36번, # 37번
그리고 상악 어금니인 # 14번, # 16번 부위에
덴티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가이드 수술을 진행했습니다.
특히, 초기 치료 계획에서
# 35번 식립으로 고려되었던 부분이 환자분의 구강 상태를 고려하여
# 36번 식립으로 변경되어 더욱 효율적인 저작 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 계획을 수정하는데요,
임플란트 식립이 완료된 후, 상실되었던 # 15번과 # 35번 치아 부위는
임플란트가 지지하는 브리지의 폰틱(Pontic, 인공치아)으로
디자인하여 재제작될 예정입니다.
이들 보철물 역시 지르코니아(구치부용)로
제작되어 뛰어난 강도와 자연스러운 색상을 자랑할 것입니다.

해당 치료 과정은 다수의 치아 상실과 잇몸 문제라는
복합적인 상황에 직면했을 때,
한두 개의 치아에 국한되지 않는 구강 전체의 통합적인 진단과
단계별 맞춤 치료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본 포스팅은 대표원장 김동섭이 직접 작성한 포스팅으로
의료법 제23조, 제56조를 준수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치료 시작 : 2023년 11월 8일 / 치료 종료 : 2024년 9월 11일
해당 케이스는 위 환자에게만 적용되는 술식이며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
1. 임플란트 탈락 2. 임플란트 주위염 3. 임플란트 보철물 탈락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