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 검사 결과 # 26번 치아는 충치나 외상 등으로 인해
신경 조직에 염증이나 감염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되어 근관치료(신경 치료)가 필요하다고 진단했습니다.
# 26번 치아에 2~3회에 걸쳐
꼼꼼하게 근관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경 치료는 치아 내부의 감염된 신경 조직을 제거하고 소독하여
통증을 없애고 치아를 보존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성공적인 신경 치료를 통해 염증의 원인을 제거하고
치아를 발치하지 않고 살릴 수 있습니다.
신경 치료 후에는 약해진 치아의 강도를 보강하고 향후 보철물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레진 (Composite Resin, CR)을 이용해 수복합니다.

마지막으로, 보강된 # 26번 치아를 보호하고
심미성 및 저작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세팅했습니다.


다음으로, 환자분께서 상실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셨던
왼쪽 아래 어금니 # 36번, # 37번 부위와
오른쪽 아래 어금니 # 45번 부위에 대한 임플란트 식립을 진행했습니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의 기능과 심미성을 가장 유사하게
대체할 수 있는 치료 방법입니다.
수원 영화동 치과는 특히 이번 케이스에서는 뼈와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을 높이고
골유착을 촉진하는 데 유리한 오스템 BA(Bio-Active) 임플란트를 선택했습니다.
디지털 가이드는 3D CT 영상을 통해 환자분의 잇몸뼈, 신경관 위치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가상 수술을 진행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술 시 오차 없는 식립 위치와 깊이를
안내해 주는 맞춤형 가이드 틀입니다.
이를 통해 수술 시간을 단축하고,
절개를 최소화하여 환자분의 통증과 부기를 줄이는 동시에,
성공률 높은 임플란트 식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 환자분의 치료 과정은
구강 전체의 통합적 진단과 단계별 맞춤 치료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특별한 전신질환이 없는 건강한 상태에서 진행되어 모든 치료가 순조롭게 이루어졌으며,
이제 모든 임플란트 보철까지 완성되면 치료가 마무리 될 수 있습니다. ^^
본 포스팅은 대표원장 김동섭이 직접 작성한 포스팅으로
의료법 제23조, 제56조를 준수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치료 시작 : 2023년 11월 6일 / 치료 종료 : 2024년 5월 23일
해당 케이스는 위 환자에게만 적용되는 술식이며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
1. 임플란트 탈락 2. 임플란트 주위염 3. 임플란트 보철물 탈락 등